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3년 부모급여 지급시기, 대상, 금액, 신청방법 간단정리

by 왜일하는가 블로그 2022. 11. 23.
반응형

2022년 윤 대통령 선고 공약 중 하나였던 부모 금여가 내년부터 시작됩니다. 0세 기준 최대 100만원 공약이었지만 정책 집행과정 중 70만원으로 줄어들었습니다. 하지만 0세 아이만 해당하던 공약이 1세 아동까지 35만원을 더 지급하기 때문에 부모 급여의 총 수령금액은 차이가 없습니다. 그럼 2023년 부모급여 지급시기. 대상, 금액, 신청방법까지 알아보겠습니다.

2023년 부모급여

2023년 달라지는 육아지원금 및 부모 급여 간단 정리

  • 첫 만남 이용권 등 출산 인센티브 강화
  • 육아휴직 기간을 1년 -> 1년 6개월로 추진 예정
  • 배우자 출산휴가 기간 연장 추진 예정
  • 초등 돌봄 교실 운영시간 오후 7시 -> 8시 확대 방안

2022.11.22 - [분류 전체보기] - 2023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

목차

    부모급여란?

    인구감소를 막기 위해 정부에서 새롭게 시행하는 정책입니다.
    부모의 급여와 소득 재산과 관계없이 모든 부모를 대상으로 지원되는 나라 지원금입니다.
    2023년 1월11월 1일부터 첫 시행되며, 아이의 출생과 동시에 신청이 가능합니다.
    2021년도에 출생했어도 만 1세를1 넘기지 않는다면 받을 수 있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부모금여를 통해 아기를 키우기 위해 필요한 육아용품, 기저귀, 분유값 등의 구입비 부담이 줄일 수 있습니다.

    2023년 부모급여

    1. 지급시기

    2023년 1월 1일부터 부모급여 대상자에게 70만원씩 지급하고2024년부터는 100만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2. 대상별 지원금액

    -23년 24년 부모 급여 얼마?

    구분 2022년 2023년 2024년
    만 0세 30만원 70만원 100만원
    만 1세 30만원 35만원 50만원

    2023년 부모금여
    ◦만 0세 : 12개월 총 840만원 지급
    ◦만 1세 : 12개월 총 420만원 지급
    2024년 부모급여
    ◦만 0세 : 12개월 총 1,200만원 지급
    ◦만 1세 : 12개월 총 600만원 지급

    2023년 부모급여 지원금액

    2023년 부모급여 대상자 및 신청방법

    1. 대상자

    -소득이나 재산 기준 없이 만 0~ 2세 미만 모두 지급

    2. 신청방법

    신청방법은 온라인 or 오프라인으로 접수 가능합니다..

    구분 신청방법
    온라인 정부24 홈페이지
    복지로 홈페이지
    오프라인 주민센터 방문 or 행정복지센터

    오프라인 신청 방법
    오프라인 신청은 주민등록상 관할 주소지 행정복지센터 및 주민센터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방문하기 전 필요한 서류를 반드시 준비하시고 방문하셔야 합니다.. 만약 2023년 출산 예정이라면, 오프라인 신청 시 원스톱으로 접수가 가능합니다.

    온라인 신청방법
    온라인 신청은 복지로 또는 정부24 홈페이지 사이트에 접속하여 신청하시면 됩니다. 2022년생 영아인 경우에는 소급적용이 확정되었을 경우 온라인으로 신청 가능합니다.

    부모금여 온라인 신청방법

    부모급여 자주 하는 질문

    1. 육아휴직

    육아휴직급여와 아동수당은 중복지급이 가능합니다.

    2. 소급적용

    2022년 6월 이전 출생아 : 70만원 매달 지급
    2022년 7월부터 12월 출생아 : 35만원 매월 지급

    2023년 부모급여 신청방법

    3. 어린이집

    부모 급여가 가정보육수당(영아 수당)의 상위 개념입니다.
    가정보육의 경우 수령 가능하며,, 어린이집을 다닌다면 보육료 바우처로 전환이 가능하며, 아동수당과 중복 지급은 불가능합니다.. 하지만 추후에 개편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4. 취약가구 (저소득층, 한부모가정) 지원 강화

    한부모가정 양육비 월 20만원 지원대상을 중위소득 52% 이하에서 60% 이하로 확대
    저소득층에 지원하는 기저귀 바우처는 월 64,000원 -> 80,000원,
    분유 바우처는 월 86,000원에서 100,000원으로 상향됩니다.



    부모급여에 대해 간단히 정리하면
    2024년 이후 아이를 출산할 경우 아이가 만 2세가 되기 전까지 대략 2,000만 원 이상의 부모 급여를 받을 수 있습니다.

    23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금도 확인해보세요.
    2022.11.22 - [분류 전체보기] - 2023년 정부지원 산후도우미 지원금, 신청방법 총정리

    반응형

    댓글